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7)
머신러닝ㆍ딥러닝 문제해결 전략 1장 리뷰 / 머신러닝 문제해결 체크리스트 먼저 문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이해한다. 그 뒤에는 이어서 EDA를 통해서 데이터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집중해야할 피처가 있는지, 각 데이터들의 클래스는 골고루 분포해있는지, 선형적인 흐름이 나타나는지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피처 엔지니어링을 진행한다. 데이터가 준비되었다면 훈련시킬 모델을 결정하고 성능을 높이기 위해 파라미터등을 조정한다. 앙상블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킨다.
캐글 메달리스트가 알려주는 캐글 노하우 2장 - 대회유형 : Featured - 제출방식 : Code Copetition - 주최 : Kaggle - 문제유형 : 이진 분류 - 데이터 타입 : 정형(Tabular) - 평가지표 : AUC 1. 평가지표 AUC란? AUC(Area Under the ROC Curve)는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은 이진 분류 모델의 성능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며, ROC 곡선 아래의 면적을 AUC라고 합니다. AUC는 모델이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보통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AUC가 1에 가까울수록 모델이 완벽하게 분류하는 것을 나타내며, 0.5에 가까울수록 모델의 성능이 랜덤 수준에..
캐글 메달리스트가 알려주는 캐글 노하우 [1장] 리뷰 / Kaggle 1. Kaggle's 핵심 : 컴페티션 - 캐글의 컴페티션은 말그대로 데이터를 가지고 이뤄지는 대회이다. 캐글 홈 화면의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competion이며 현재 진행중인 대회의 수를 볼 수 있다. 캐글의 컴페티션의 유형은 5가지이다. 1. Featured : 가장 일반적인 컴페티션으로 캐글에서 열리는 대부분의 대회가 해당유형이다. 다양한 도메인의 데이터가 활용된 컴페티션이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큰 특징은 상금이 크다는 점이다. 2. Research : 두번째로 많이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주최하는 곳이 대게 연구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체가 많다. Featured에 비해서 실험적이고 도메인이 생소한 경우가 많다. 3. Analytics : 다른 대회는..
22전략 Start(1일차) 자청님의 영상을 보고 역행자 책까지 읽고나니 22전략을 나에게 적용해보기로 결심이 들었다. 점심을 먹고 도서관에 와서 자청님이 추천하신 책들을 찾아 책상에 두고 블로그 글을 작성하고 있다.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야한다는 그 부분을 너무나 공감한다. 일을 처리하고 판단을 내리기까지 아직도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오늘을 시작으로 22전략을 내 생활에 접목시켜 나의 꿈에 밑바탕으로 삼을 것이다. 오늘 내가 읽을 책은 '정리하는 뇌',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이다. 읽고나서 오늘 읽은 부분을 정리하도록 하겠다.
리액트 설치 1. 폴더 생성 2. cd 폴더명 3. create-react-app . 실행
리액트의 장점 리액트의 특징 : Component를 활용한 코드 작성! compnent 사용시 장점: 1. 가독성 / 해당 태그가 담고 있는 내용을 빨리 파악할 수 있다. 2. 재사용성 / Component 복붙을 통해 간편하게 다시 사용할 수 있다. 3. 유지보수 / 해당 Component 변경시 포함되어 있는 모든 코드들이 동시에 변경
HTTP 메시지 기본 start-line 시작라인 header 헤더 empty line 공백라인 (CRLF) message body HTTP 요청 메시지 GET /search?q=hello&hl=ko HTTP/1.1 시작라인 HOST : www.google.com 헤더 공백 시작라인 : request-line request-line = HTTP 메서드 (GET: 조회) + 요청대상 (/search?q=hello&hl=ko) + HTTP Version HTTP 응답 메시지 HTTP/1.1 200 OK 시작라인 Content-Type: text/html;charset=UTF-8 헤더 Content-Length: 3423 공백 message body ... 시작라인 : status-line status-line = HTTP ..
비 연결성(connectionless) HTTP는 기본이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 => 서버의 자원을 아낀다. 일반적으로 초 단위의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스를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우 작음 =>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검색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 서버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결을 유지한다는건 계속해서 요청을 주고 받아 확인한다는 것 => 자원 소모 심함 한계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 함 -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재요청하면 HTML 뿐만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CSS, 추가 이미지등 다시 다운로드 지금은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로 문제 해결 HTTP/2, HTTP/3에서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