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흐름 요약
1단계 | Docker 설치 확인 |
2단계 | Gremlin Visualizer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pull) |
3단계 |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
4단계 | 브라우저에서 localhost:3000 접속 |
5단계 | Gremlin Server IP 및 포트 입력 후 쿼리 실행 (g.V() 등) |
🔧 1단계: Docker 설치 확인 (Windows)
- Docker Desktop for Windows 설치
- 설치 후 Docker Desktop 실행 → 우측 하단의 고래 아이콘이 Running 상태여야 함
- Git Bash 실행 후 아래 명령어로 Docker 정상 작동 확인:
docker version
- Client와 Server 모두 버전 정보가 나오면 정상입니다.
📥 2단계: Gremlin Visualizer 이미지 가져오기
Git Bash에서 아래 명령 실행:
docker pull prabushitha/gremlin-visualizer
성공 확인:
docker images
→ prabushitha/gremlin-visualizer 항목이 보이면 완료
▶️ 3단계: Gremlin Visualizer 컨테이너 실행
Git Bash에서 다음 명령어 실행:
docker run -d -p 3000:3000 --name gremlin-visualizer prabushitha/gremlin-visualizer
실행 중인지 확인:
docker ps
→ gremlin-visualizer 이름의 컨테이너가 STATUS: Up 이면 성공
🌐 4단계: 브라우저로 접속
브라우저 주소창에 아래 입력:
http://localhost:3000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UI가 뜨고, Gremlin 쿼리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보입니다.
🧪 5단계: Gremlin 쿼리 실행
🔹 접속 설정
- Host: Gremlin Server의 IP
- Git Bash나 PowerShell에서 확인 가능:→ 무선 LAN IPv4 주소 등 사용
-
ipconfig
- Port: 보통 8182 (기본 포트)
Host: 192.168.1.9 Port: 8182 Query: g.V()

🔹 쿼리 예시
g.V() # 모든 정점 가져오기
g.V().has('name','josh')
g.V().has('name', within('josh','marko'))
정점 클릭 시 오른쪽에 정점 정보(id, label, properties) 표시됨
가장자리 클릭 시 엣지 정보(label, id, properties) 표시됨
🎛️ Gremlin Visualizer UI 활용 팁
- ⚙️ Settings: 노드 수 제한, 그래프 물리 엔진 활성화/비활성화
- 📜 Query History: 지금까지 실행한 쿼리 확인
- ➡️ Traverse In/Out 버튼: 정점의 연결 엣지를 따라가기